고등법원은 송유근(22)에 대한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의 제적 처분이 정당하다고 판단했답니다.
대전고법 행정2부는 19일 송씨가 UST 총장을 상대로 낸 제적처분 취소청구 항소심에서 원고 항소를 기각했다.
송씨는 12세였던 지난 2009년 3월 UST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 천문우주과학 전공 석·박사 통합 과정에 입학했으나 재학 연한인 8년 안에 박사 학위를 따지 못해 지난 2018년 9월 제적 처분됐다.
UST에서 박사 학위를 받으려면 재학 중 박사학위 청구논문 심사를 받고 관련 논문 1편을 과학기술논문 인용 색인급 저널에 발표해야 하나 송씨는 재학 중 논문 표절 논란으로 지도교수가 교체된 바 있다.
이 때문에 그는 "지도교수 해임으로 UST에서 실제로 교육받은 기간은 7년에 불과하다"며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하지만 1심 재판부는 "논문 표절 논란에 송씨 책임도 있고 피고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보이는 만큼 재학 연한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주장은 타당성이 없다"며 송씨 측의 항소를 기각했습니다.
2심 재판부도 "원심은 정당하고 원고 주장에 이유가 없다"며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
송씨는 지난 2015년 10월 천체물리학 저널에 발표한 블랙홀 관련 논문이 교신저자인 박석재 전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위원의 2002년 학회 발표자료를 인용했다는 표시를 하지 않아 표절 의혹을 받았다.
저널 측은 '자기 표절'에 해당한다고 판단해 같은해 11월 논문을 공식 철회한 바 있답니다.
천재소년 송유근, "나이 어려 어울리기 힘든 것도 있어.. " - 2015. 4. 16.
송유근이 훌쩍 자란 근황을 전하며 대학시절 고충을 밝히는 등 속마음을 공개했다.
15일 방송된 SBS '영재발굴단'에서 천재소년 송유근은 근황 공개와 동시에 수학영재들을 만나 조언했답니다.
송유근은 자신의 공부법을 궁금해 하는 아이들에게 "난 5살 때 곱셈을 했다. 7살 때 미적분을 풀었다. 그때까지는 부모님께서 날 많이 지도해주셨다. 대학에 입학하면서부터 전공을 물리학을 했다. 그때부터 혼자 공부하기 시작했다"면서 "책 읽고 강의 듣고 질문하면서 실력을 쌓았다"고 말했다.
송유근은 "너희와 비슷하게 집에서 절반은 도움 없이 혼자 공부하는 스타일이다. 나 자신과의 싸움이 힘들었다. 모르는 게 있으면 혼자 오랜 시간 고민했다. 대학을 가거나 하면 강의 들을 때 10살 정도 차이 나는 사람들과 함께였다"면서 "나이가 어리니까 어울리기 힘든 것도 있었다"고 힘들었던 시기를 털어놨다.
송유근은 아이들에게 "학교에서 친구들과 잘 울려 놀아라. 같이 운동도 하고 음악도 하고 미술도 하고 잘 어울리면서 지내는게 좋다"면서 "훌륭한 수학자가 되려면 다른 학문도 공부하는게 좋다. 예를 들어 인문학, 철학, 어학이다. 여러가지를 즐기면서 하는 게 좋다"고 조언을 아끼지 않았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