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법인으로 알려진 형제복지원은 지난 1975년부터 1987년까지 대한민국 부산직할시의 북구 주례동 산 18번지(지금의 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 372) 일대에 위치해 있던 부랑자 강제수용소입니다.
무려 3,146명이 수용 가능한 대한민국 최대의 부랑인 수용시설이었는데, 지난 1987년 3월 22일 직원의 구타로 원생 1명이 숨졌으며, 이에 35명이 탈출함으로써 그 내부에서 일어난 인권유린이 드러나게 되었답니다. 지난 1975년 내무부훈령 제410호, 그리고 1986년 아시안 게임과 아울러서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대한민국 정부가 대대적인 부랑인 단속에 나선 것이 형제복지원 설립의 배경이었답니다.
한편, 형제복지원은 폐쇄 이후, 세상에 떠들썩하게 알려졌던 것이지만, 이후 빠르게 잊혔답니다. 이후에 27년 뒤, 1984년 입소하여, 1987년 폐쇄당시 전원조치된 피해자인 한종선이 지난 2012년 5월 국회 앞에서 1인시위를 통해 세상에 알렸으며, 전규찬과의 공저 <살아남은 아이>의 책을 통해 형제복지원에서의 실상을 글과 그림으로 증언하며 세상에 알려졌답니다.
이후에 형제복지원진상규명을위한 대책위원회, 형제복지원피해생존자모임이 결성되었답니다. 지난 2014년 3월 22일, SBS '그것이 알고싶다-홀로코스트 그리고 27년:형제복지원의 진짜 진실'에서는 27년 동안 감춰져 온 이 사건의 의혹과 진실이 방영되었는데, 이 복지원에서는 수용자들의 중노동은 물론이거니와 수용자들에 대한 구타와 감금까지 자행됐던 것이며, 12년 동안에 무려 500명이 넘는 인원이 사망한 것으로 조사되었답니다.
이에 문무일 검찰총장은 지난 2018년 11월 27일에 한종선씨 등 형제복지원 피해자 30여명을 만난 뒤에 "검찰이 외압에 굴복한 뒤에, 수사를 조기에 종결하고 말았다는 과거사 위원회의 조사결과를 무겁게 받아 들이는 마음이다"고 전하기도 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