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슬란 학교 인질 사건 사망자 가해자 범인 장소 위치 어디
카테고리 없음지난 2004년 9월 1일 아침 북오세티야 베슬란에서 학년 초를 기념하는 엄숙한 줄에서 테러리스트들에 의해 행해진 인질극이었습니다. 이틀 반 동안, 테러리스트들은 1100명 이상의 인질들(대부분은 어린이와 아울러서, 부모, 학교 직원들)을 최악의 상황에 처하여 최소한의 자연적 필요조차 충족시키지 못하게 했습니다.
사흘째인 오후 1시 7분 경에 학교 체육관에서 폭발이 일어나 불이 나 건물이 부분적으로 무너졌습니다. 첫 폭발 이후 인질들은 학교를 뛰쳐나갔고, 연방보안국 특수목적센터(FSB)는 공격을 받았습니다. 민간 무기를 사용하는 민간인을 포함한 혼란스러운 총격전에서 27명의 테러리스트가 사망했습니다. 유일한 살아있는 테러리스트인 누르파샤 쿨라예프는 체포되어 나중에 종신형을 선고 받았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인질들이 공격 중에 풀려났지만, 이 공격으로 186명의 어린이를 포함한 314명의 인질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구조대를 포함한 총 332명이 사망하고 783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이런 공격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3400만 루블을 넘어섰습니다. 샤밀 바사예프는 2004년 9월 17일 체첸 분리주의자인 카브카즈-센터 웹사이트에 성명을 발표하면서 공개적으로 공격을 감행했습니다.
해당 사건의 주범인 샤밀 바사예프는 체첸 고유의 수피즘 계열 세력 출신(이슬람 극단주의의 토대가 된 극단적 계파인 와하브파에 경도된 파벌이라고 함)으로, 체첸 민족보다도 지하드와 종교적 테러를 더 중시하는 성향이었습니다. 아울러, 다게스탄 공화국을 건드려서 2차 체첸 사태를 유발한 자이기도 했습니다.
유럽인권재판소, '2004년 베슬란학교 인질극' 러 정부 책임 판결
- 2017. 4. 13
러시아 남부 지역에서 지난 2004년 일어난 베슬란 학교 인질극 사건에 대해 유럽인권재판소가 러시아 당국의 책임을 인정하는 판결을 내리자 러시아 정부가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 본부를 둔 유럽인권재판소는 13일(현지시간) 베슬란 사건 피해자들이 낸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리면서 러시아 정부가 유족들에게 295만 유로(약 35억원)의 배상금과 소송 비용 8만8천 유로를 지급하라고 명령했다고 인테르팍스 통신 등이 전했답니다.
이에 앞서 사건 당시 인질로 붙잡혔다 생존한 사람들과 부상자들, 희생자 유족 등을 포함한 400여 명은 러시아 정부를 상대로 인권재판소에 소송을 제기했다.
원고 측은 러시아 정부가 테러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지 못해 '생명권'을 보장한 유럽인권보호조약 2항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답니다.
이들은 당국이 상당한 양의 테러 계획 정보를 사전에 확보하고도 합당한 예방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해당 사건 당시 테러리스트들과의 협상이나 인질 구조 작전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보안군의 과도한 무력 사용으로 사상자가 늘었다는 주장도 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