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 신동빈 가계도 가족 아버지 회장 신격호 가족관계 나이 아들 사망
카테고리 없음"롯데 후계자는 신동빈"..신격호 20년前 자필 유언장 나왔다
-2020. 6. 24
지난 1월 타계한 롯데 창업주 신격호 명예회장의 유언장이 24일 공개됐다. “한국, 일본 롯데그룹 후계자는 (차남) 신동빈으로 한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신 명예회장의 장남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이 지금까지 주장했던 것과 다르다. 그는 ‘장자 승계 원칙’과 신 명예회장 ‘뜻’을 내세워 신동빈 회장을 상대로 ‘경영권 분쟁’을 벌여왔습니다.
이 유언장이 발견된 직후 이날 열린 일본 롯데홀딩스 주주총회에서 신동빈 회장은 일본 롯데홀딩스의 이사회 의장, 단독 대표이사 사장 등의 자리에 올랐다. 과거 신 명예회장의 지위를 모두 물려받았다. 한국과 일본 롯데를 완벽하게 통제하게 됐다. 신 회장은 “대내외 경제상황이 어려운 만큼 부친의 업적과 정신 계승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며 “다시 시작한다는 각오로 그룹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답니다.
이날 롯데그룹에 따르면 신 명예회장의 유언장은 지난달 말께 그의 도쿄 집무실을 정리하던 도중 금고에서 나왔다. 신 명예회장이 사망하고 상속 재산을 명확히 하려면 집무실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야 했다. 이전에는 신 명예회장의 허락 없이 그의 집무실에 들어가는 것은 허용되지 않았다. 도쿄 집무실 정리에는 일본 롯데홀딩스 직원들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답니다.
이들은 금고 안에서 ‘유언장’이라고 쓰인 봉투를 발견하고 곧바로 상속인들에게 알렸다. 상속인은 신동빈 회장과 신동주 회장, 신영자 전 롯데장학재단 이사장, 신유미 씨 등 4명이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탓에 상속인들이 일본에 자유롭게 갈 수 없다는 것을 감안해 법정 대리인들이 내용을 같이 봤다”며 “다만 법적 효력이 있는 유언장은 아니며, 창업주의 의지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유언장은 지난 11일 도쿄 가정재판소 가사 제3부에서 신 명예회장 상속인들의 법정대리인 입회 아래 개봉됐다. 작성일은 2000년 3월 4일로 돼 있었다. 신 명예회장이 왕성하게 경영활동을 한 시기다. 신 명예회장이 자필로 유언장을 적었다. 첫 번째 줄은 ‘사후 롯데그룹의 한국, 일본 후계자는 신동빈으로 한다’는 내용이다. 두 번째 줄은 ‘장남 신동주는 롯데그룹 각사의 실무와 인사에 관여하지 않는다’, 세 번째 줄은 ‘나의 형제들은 롯데그룹 경영에 일절 관여하지 않는다’ 순으로 쓰여 있었다.
유언장이 작성됐을 당시 신 회장은 ‘경영수업’을 받고 있었다. 1997년 한국 롯데 부회장에 올랐고 이후 세븐일레븐, 롯데닷컴 등 계열사를 돌며 대표를 지냈다. 신 명예회장은 유언장 작성 이후 그룹의 큰 의사 결정에 적극적으로 역할을 맡겼다. 국내 최고층 빌딩 롯데월드타워 개발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당시 실무진은 “두 동짜리 주상복합건물을 짓는 게 사업성이 더 좋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신 명예회장은 최고층 빌딩을 고집하며 신 회장의 의견을 자주 물었다. 이 관계자는 “돌이켜 생각해보면, 당시 신 명예회장은 자신의 후계자로 신 회장을 염두에 두고 혹독하게 단련한 것”이라고 말했답니다.